2025년 7월 K팝 관련 컨텐츠가 아이들 사이에서 인기가 많다길래, K팝 아이돌들을 주제로 한 다큐멘터리 정도로 생각했다. 근데 몇 일 후 해당 컨텐츠가 다큐멘터리가 아니고 Netflix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 KPop Demon Hunters)란 것을 알게 되었고, 이미 유튜브 알고리즘에는 클립과 보컬 커버영상이 끊임없이 올라오고 있었다.
걸그룹 헌트릭스(HUNTRIX)는 무당의 후예이다. 과거에는 한국의 무당이 굿으로 악귀를 퇴치했다면, 현대에 와서는 K팝 아이돌의 노래·춤이 퇴마의 도구가 된다는 설정이다. 원작에서는 혼문(魂門, 영혼의 문)을 발음 그대로 Honmoon이라 표현했는데, 케데혼 세계관에서는 혼문을 K팝 아이돌의 진심어린 음악과 관객의 공감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강력한 결계(Barrier) 내지 봉인(Seal)로 나타내고 있다.
결국 혼문이 데몬을 막게 되는데, K팝 팬들의 영혼을 앗아간 데몬(악령)은 한국 전통의 저승사자로 표현되었다. 처음에 사자보이즈라는 말을 들었을 때, 진짜 사자(lion)인 줄 알았는데 저승사자였다. 검은 갓과 도포를 갖춘 저승사자 컨셉의 사자보이즈를 본 순간, 잠재력 있는 컨텐츠로 코리안 좀비가 부상할 가능성을 생각했다. 1970~80년대 KBS 드라마 전설의 고향에서 얼마나 많은 저승사자들이 담겨 있는가.
한국기업의 공동제작, 케데헌
글로벌 배급·유통은 한국기업이 감당하기 어려우니 그렇다 치더라도, 제작을 외국기업이 주도했다는 점은 아쉬운 부분이다. 케데헌의 제작사는 소니픽처스 애니메이션(Sony Pictures Animation)으로, 시나리오 음악 마케팅 등의 전반적인 컨트롤을 수행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한국문화를 너무나도 잘 알고 만든 듯한 느낌을 받는 이유는 스튜디오미르가 공동제작사(프로덕션 파트너)로 참여했기 때문이다.
스튜디오미르(Studio MIR)는 2010년 유재명이 설립한 국내 애니메이션 제작사로, 케데헌의 오프닝·엔딩 크레딧에서 공동참여의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스튜디오미르는 애니메이션 제작의 모든 과정(프리·메인·포스트 등)을 자체적으로 진행하면서 글로벌 기업(애니메이션·OTT)와 파트너쉽을 쌓아 왔으며, 미국 자회사(Studio MIR US Inc.)를 두고 있다. 스튜디오미르는 케데헌 메인 프로덕션을 담당하면서, 다양한 역할(스토리보드, 캐릭터디자인, 레이아웃, 원화, 배경, 디지털작화, 연출 등)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이번 케데헌의 성공으로 국내 애니메이션 기업의 소프트웨어·하드웨어의 역량도 검증되었다고 볼 수 있다.
스토리보드(storyboard)는 영화나 애니메이션 제작에서 이야기의 주요 사건·장면을 시간 순서대로 글과 그림으로 표현한 일러스트로, 장면 별 내러티브(장면별 구도, 캐릭터 위치, 움직임 카메라 앵글, 대사, 음향 등)를 간단히 보여준다. 이에 반해 레퍼런스 이미지(Reference Images)는 상대적으로 구체적인 시각적 참고자료이지만, 완성된 이미지에 비하면 습작 수준인 듯하다. 케데헌에서 귀마 역을 맡은 이병헌은 한 인터뷰에서, 몇 년 전 소니픽처스와의 미팅에서 본 레퍼런스 이미지를 보고는 못 그렸다는 생각을 했었다고 한다.
5대 메이저 영화사, 소니픽처스
2025년 현재 할리우드 5대 메이저 영화사는 다음과 같다.
유니버설(Universal Pictures) : NBC유니버설
파라마운트(Paramount Pictures)
워너브라더스(Warner Bros. Pictures) : 워너브라더스 디스커버리
컬럼비아(Columbia Pictures) : 소니픽처스 엔터테인먼트
디즈니(Walt Disney Pictures) : 월트디즈니 컴퍼니
과거 6대 메이저 영화사에는 20세기 폭스(20th Century Fox)가 포함되었으나, 2018년 디즈니가 20세기 폭스를 약 713억 달러(80조원)에 인수했다.
소니픽처스 이미지웍스(Sony Pictures Imageworks)는 CG·VFX를 전문으로 하는 소니픽처스 엔터테인먼트의 자회사로, 원래 애니메이션(제작)과 VFX(Visual Effects, 특수효과) 모두를 담당했었다. 하지만 2000년 전후로 CG애니메이션 시장이 할리우드 대형 스튜디오(픽사·드림웍스 등)을 중심으로 성장하면서, 2002년 소니픽처스 엔터테인먼트(SPE, Sony Pictures Entertainment)는 애니메이션 제작을 전담하는 소니픽처스 애니메이션을 분사하게 된 것이다.
1918년 설립된 C.B.C.필름 세일즈(Cohn Brandt Cohn Film Sales)는 6년 후인 1924년 컬럼비아픽처스로 사명이 변경했다. 1982년 코카콜라가 재정난에 처한 콜럼비아픽처스를 사업다각화 목적으로 인수했다. 1987년 코카콜라는 컬럼비아픽처스와 트라이스타픽처스를 합병하여 컬럼비아픽처스 엔터테인먼트를 설립했다. 1982년 3개사(컬럼비아픽처스·HBO·CBS)가 트라이스타 픽처스(TriStar Pictures)를 공동설립했는데, 당시 케이블방송이 보편화되면서 설립된 중소형 영화사였다.
1989년 코카콜라는 재정난에 처한 소니를 인수한지 7년 만에 소니에게 매각하고, 1991년 사명이 소니픽처스 엔터테인먼트로 변경했다. 1989년 한국 영화시장에 컬럼비아 트라이스타로 진출한 이후, 사명이 소니픽처스 릴리징 코리아로 변경되었다. 2021년 소니가 지주회사로 전환되면서, 소니그룹으로 사명이 변경되었다. 현재 소니그룹 산하의 엔터테인먼트 계열사는 다음과 같다.
소니픽처스 엔터테인먼트: 영화·TV 제작 및 배급
소니픽처스 애니메이션 : 애니메이션 콘텐츠 제작
소니뮤직 엔터테인먼트 : 음악 제작 및 유통
소니그룹에서 음악을 담당하는 소니뮤직 엔터테인먼트(SME)는 미국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일본 내에서 활동하는 소니뮤직 엔터테인먼트 재팬(SMEJ)와는 독립된 법인이다. SMEJ도 애니메이션을 기획하는 자회사(애니플렉스)를 두고 있다. 이전 글 <기술발전으로 형체가 없어진, 레이블>에서는 2004년 소니뮤직엔터테인먼트가 BMG와 합병하면서 소니BMG뮤직엔터테인먼트가 되었다가, 이후 2008년 소니가 BMG의 지분을 인수하면서 소니뮤직엔터테인먼트가 되었다고 언급했었다.
3대 메이저 음반사, 리퍼블릭
2025년 현재 세계 3대 메이저 음반사 그룹은 다음과 같다.
소니뮤직 엔터테인먼트(SME, Sony Music Entertainment)
워너뮤직 그룹(Warner Music Group)
유니버설뮤직 그룹(UMG, Universal Music Group)
케데헌은 소니픽처스에서 제작되었지만, OST 음반의 배급은 리퍼블릭레코드(Republic Records, UMG 산하)가 맡았다. 소니픽처스는 북미시장 중심의 글로벌 프로젝트에 SME보다는 UMG가 더 유리할 것이라고 판단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리퍼블릭레코드는 이미 K팝 아티스트(트와이스·있지 등)의 미국 배급과 브랜딩을 맡으면서, 글로벌 성공경험과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다. 2025년 기준으로 BTS의 북미 음악배급도 게펜레코드(Geffen Records, UMG 산하)가 맡고 있다. 소니픽처스는 OST 기획단계에서부터 글로벌 차트 진출과 수상을 준비했다면, 이를 위해서는 UMG의 경험자산이 더 경험자산이 필요했을지도 모른다.
귀신같이 꿰꿇는, 귀문관
케데헌의 혼문을 닫힌 귀문(鬼門, 귀신이 드나드는 문)으로 해석한다면, 더 이상 귀신이 인간세계로 드나들 수 없는 귀문일 수 있다. 이전 글 <오늘날과 달랐던 과거의 시간>에서는 과거 귀문이 위치한 방향을 북동쪽이라고 여겼으며, <영혼과 맞닿아 있는, 송과체>에서는 송과체 내지 뉴런(내 미세소관)이 귀문일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 과거부터 인간세상에서는 귀문이라는 상상의 공간을 궁금해 했다.
이전 글 <불완전한 사주에 필요한, 용신>에서는 신살을 사주원국·운에 잠재된 장애물이라 하였고, 그 신살 중에 귀문관이 있다고 언급했었다. 귀문관(鬼門關)은 흉살 중의 하나로, 흔히 귀신이 씌였다는 부정적인 의미로 인식된다. 하지만 명칭만으로 단순히 귀신과 결부시키기 보다는, 남들이 보지 못하는 부분을 귀신처럼 꿰뚫어보는 강한 통찰력·창의력을 가졌다고 생각하면 된다. 정신적 직관·영감이 뛰어나 예술·철학·종교에서 두각을 보이지만, 정신적인 에너지를 소진하다보니 정신적·신체적 건강문제(불안·두통)가 동반될 수도 있다. 신내림을 받거나 역술·명상·수도 같은 분야에서도 귀문관이 많이 작용하는 편이다.
귀문관은 괴강과 유사하지만, 파괴력이 없이 감수성이 탁월하고 특수한 분야에 재능이 많다. 일지를 기준으로 다음 2개의 글자가 인접해야 하며, 일지가 들어 있는 귀문관이 강하다.
진해(辰亥) 귀문
자유(子酉) 귀문
인미(寅未) 귀문 : 최강
사술(巳戌) 귀문
오축(午丑) 귀문
묘신(卯申) 귀문 : 최강
글로벌 히트를 치고 있는 K컨텐츠가 한국 전통의 귀신·무속과 관련되었다는 부분이 매우 흥미롭다. 비록 미국기업들이 만든 수입품이지만, 한국문화와 K팝을 컨텐츠로 대성공을 이뤘다는 점에서 분명 한국의 잠재적 가치를 높여 줬다고 생각된다. 이제는 한국기업들이 엔터테인먼트에 자본과 창의력을 귀신같이 결집시켜, 수익창출 방안을 강구해야 할 시간이 아닐까 한다.
'철학·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학] 결국 혼자 일어서야 하는, 인생 (2) | 2025.07.17 |
---|---|
[종교] 억겁을 거쳐 온, 현생인연 (5) | 2025.06.04 |
[종교] 혼란의 시대를 틈탄, 정감록 (5) | 2025.05.20 |
[철학] 고통 속에서 전진하는, 인생 (2) | 2025.05.11 |
[철학/사주] 12개의 사이클 (0) | 2025.05.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