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철학·법27 마음 만으로도 부처를 꿈꾼, 선종 중국불교에 있어서 정토종·선종은 실천적 교리를 강조하면서, 현재까지 동아시아 전반에서 최대 종파를 형성하고 있다. 이전 글 중국에서 현지화된, 불교>에서는 인도불교가 중국으로 전래되어 현지화된 개략적인 과정을 언급했었다. 정토종은 염불을 끊임없이 외우기만 하면 되는 간편함을 골자로 했지만, 선종은 이러한 간편함을 넘어 깨치기만 하면 누구나 부처가 될 수 있다고 한다. 서울 시내에서 가장 유명한 사찰로는 조계사·봉은사를 들 수 있는데, 조계(曹溪)는 혜능의 별호에서 유래되었다. 혜능의 육조단경은 당대의 엘리트·대중 모두에게 인기를 끌었으며, 이후 주돈이(성리학 시조)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혜능의 사상이 유교의 성선설과 부합되었기 때문이다. 달마로부터 시작된, 선종 중국 선종(禪宗, 선불교)은 대승불교의 한.. 2025. 2. 2. 중국에서 현지화된, 불교 석가모니의 불교는 인도에서 탄생하여, 중국으로 전래되었다. 한반도의 불교는 중국으로부터 전래되어,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AD 67년경 후한 효명제대, 서역불교가 중국에 최초로 전해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불교가 전래될 당시 중국에는 이미 유학·도교가 있었는데, 2세기 후반 서역·인도에서 들어온 역경승에 의해 불경이 한역되었다. 이후 인도 등지에서 온 승려들에 의해 불교경전이 한역(漢譯)되었다. 중국 고유의 철학개념(유교·도교)을 바탕으로 인도불교를 해석한 중국의 초기불교를 격의불교(格義佛敎)라 하는데, 격의(格義)는 이질적인 타문화를 이해하기 쉽게 자문화를 빌어 방편적으로 이해하는 방식이다. 중국불교를 이해하기 위한, 인도불교 6세기까지 인도불교의 주류였던 부파불교(소승)는 실천보다는 경전·.. 2025. 1. 26. 아파트 내 손해배상, 안전성 세상을 살다보면 사고는 순식간에 일어난다. 무사한 경우도 있지만, 상해를 입거나 심지어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사고의 순간은 찰나이지만, 몇 배속으로 천천히 재생하듯 생생히 기억하곤 한다. 마치 뇌(아님 우주) 속에서 인생의 클라이막스를 조명하듯이. 암튼 인생에서 사고는 예상치 못한 순간에 다가오고, 이를 대비하기 위해 보험을 들고 소송을 준비한다. 현대사회에서 타인에 대한 손해는 불법행위로 간주되어, 손해배상책임을 지게 되는 경우가 많다. 민법 제750조와 제758조 제1항에서는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위법행위로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자는 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 공작물의 설치 또는 보존의 하자로 인하여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때에는 공작물 점유자가 손해를 배상할 책임.. 2025. 1. 21. 대립하면서도 의존하는, 태극 세상에는 누구나 알지만 대부분 모르는 내용이 많다. 태극기는 모르는 사람이 없으면, 초등학생도 그릴 줄 안다. 하지만 태극기의 디자인 원리나 만들어진 계기에 대해서는 아는 사람이 거의 없다. 국민의 정신이 담긴 태극는 마치 무속이나 우주적 원리로 치부되면, 이해하기를 꺼려하는 경우가 많다. 사주명리(四柱命理)은 간지를 사용하여 사람이 태어난 사주(四柱, 4개의 기둥, 연월일시)를 바탕으로 인간의 운명을 추론하는 것으로, 간지(干支)는 오행(목화토금수)을 분화하여 십간(十干)·십이지(十二支)를 조합한 것으로, 육십갑자(六十甲子)라고 한다. 사주명리를 주역과 혼동하는 경우가 많은데, 주역은 춘추시대 이후 등장한 사주명리보다 훨씬 오래되었다. 주역과 다른, 사주명리 주역(周易, 주나라의 역)은 주나라의 점서(.. 2025. 1. 17. 이전 1 2 3 4 5 6 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