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36

[서울] 불심과 흥청이 거쳐간 공간, 탑골공원 20년 전만 해도 파고다공원이라 하면, 정확한 위치는 몰라도 전국민이 서울의 유명한 공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서울 종각역에서 종로3가역 방향으로 걷다 보면 종로2가 교차로의 북동쪽에 탑골공원이 위치한다. 현재는 노인들이 바둑을 두면서 무료한 일상을 보내고 무료급식을 제공받는 노인공원의 이미지가 짙은데, 역사를 돌이켜보면 사찰·기생숙소·관아 등의 다양한 공간용도로 활용되었다고 한다. 오늘은 서울 도심에 위치한 탑골공원의 과거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자.고려부터 이어져 온, 사찰지고려는 개경(현 개성)을 수도로 정했고, 불교를 국교로 삼은 나라였다. 당시 한양에 사찰 흥복사(興福寺)가 창건되었는데, 조선을 개국한 이성계는 한양(한성)을 도읍으로 정하면서 흥복사를 조계종(曹溪宗)의 본사로 지정했다. 하지만 숭.. 2023. 2. 23.
[부동산] 업무 및 상업 시설을 향한 우려, 그리고 변화 최근 COVID-19의 대유행을 거치면서, 향후 도시 내 업무·상업시설의 기능이 사라질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이 많다. 그 근거로는 원격근무의 증가, 사람들의 소통방식의 변화, 그리고 전자상거래의 성장 등이 있고, 이러한 요인들은 모두 전통적인 오프라인(off-line) 공간의 불필요성을 부각시켜 왔다. COVID-19가 잦아든 후에도, 우호적인 거시경제환경이 갖춰지지 않아 산업성장이 약화되고, 이는 결국 기업들의 오피스 수요와 자영업자들의 상가 수요를 약화시켰다. 부동산시장의 큰 변곡점에 서 있는 우리는 사회·경제적 요구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부동산의 용도변화를 고민해봐야 한다. 일하는 방식의 변화을 가져온, COVID-19우선 COVID-19 대유행은 우리가 일하는 방식에 상당한 변화를 가져왔고,.. 2023. 2. 22.
[공간] 국민을 대표하는, 정치인 공간 일반인들이 접하는 상당한 비중의 뉴스들 중에는 정치인에 관한 내용이 빠지지 않는다. 최근 정당을 구분하지 않고 정치인들의 사법리스크들이 부각되고 있는데, 그들은 여전히 여유있고 당당한 모습을 보여준다. 정치인의 공간은 역사나 타문화의 영향을 받으며 다양해졌지만, 그들이 살아가는 사회상의 변화요구와 우선순위를 반영하는 경향이 있다. 지배층의 힘을 보여주기 위한 공적 공간에서부터 정책결정이 이루어지는 사적 공간에 이르기까지, 정치인의 공간들은 한 나라의 정치지형과 집단의식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오늘은 정치인의 공간에는 무엇이 있는지와 눈여겨 볼 만한 특수공간에 대해 알아보자. 통치의 위력을 보여주는, 공적 공간 역사적으로 많은 문화권에서 정치리더들은 군중들에게 연설·발표를 하기 위해 마을광장.. 2023. 2. 21.
[도시] 카페를 즐겨찾는, 도시인 부하직원들과의 소통을 하기 위해 개인적으로 선호하는 시간은 아침시간이다. 직원들이 출근한 8시 30분이면 직원들과 사무실건물 1층에 위치한 스타벅스 또는 옆 건물의 투썸플레이스에서 티타임을 가지는데, 30분 이상 진행되는 티타임을 통해 생각보다 많은 정보(직원들의 일상과 업무진행 상황 등)를 얻게 된다. 도시에 사는 현대인들이 카페를 자주 찾는 이유는 단지 커피 한 잔을 마시는 것 이상의 의미가 있다. 다른 이유로는 카페의 안락하고 매력적인 분위기, 여행 경험을 연장하고 싶은 욕구, 후각과 청각의 감각적 즐거움 등이 있다. 도시 내에는 여러 컨셉의 공간이 존재하지만, 카페 라는 공간이 유독 분위기, 즐거움 및 욕구 충족의 측면에서 가장 인기 있는 장소임은 누구도 부인하기 어렵다. 이유 1) 사람을 끌어들.. 2023. 2.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