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20 [역사/서울] 자연과 권력이 공존했던, 삼청동 서울에서 좋아하는 길이 몇 개 있다. 군대 가기 전에는 거주했었던 독립문 근처에서 시작하여 송월길·정동길을 거쳐 을지로1가(프레지던트호텔~롯데백화점)까지 자주 걸었었다. 워낙 아기자기하면서도 클래식한 감흥을 주던 그 길 위에서의 추억을 생각하면 청춘이 떠오른다. 을지로 1가는 남북을 잇는 남대문로에 비해 유동인구가 적어서 한적한 분위기일 뿐 아니라, 마침 5년 동안 근무했던 직장건물도 있었다. 이전 글 공주댁 근처의 공간, 소공동 롯데 부지>에서 언급했던 미쓰이물산 경성지점도 을지로 1가 북측의 중간에 위치했었다. 삼청동도 여러모로 추억이 많은 공간인데, 특히 국군서울지구병원 자리가 인상에 깊이 남아있다. 현재의 국군서울지구병원이 리모델링하여 들어오기 전인 2010년까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사용한 건물.. 2024. 11. 11. [정치] 여전히 역사의 한 장면, 선거인단 글로벌 경제가 세계화를 지향했던 지난 수십년 동안, 전 세계 국민들은 4년 마다 돌아오는 미국 대통령선거에 큰 관심을 가졌다. 문제는 복잡한 선거제도에 대한 이해였다. 일반적으로 대통령 선거에서는 가장 많은 표를 얻은 후보가 당선되지만, 미국은 다르다. 대중투표(유권자 투표)에서 가장 많은 득표를 했더라도, 선거인단 투표가 승부를 결정하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즉 직접투표가 아닌 간접투표로 대통령을 결정하는 것이다. 유권자 전체 득표수가 승부에 직결되지 않으며, 개표 막바지로 가면 생소한 단어들이 등장한다. 기본적으로 미국이라는 국가가 탄생하는 과정에서 정착된 독특한 선거제도인 만큼, 미국의 역사를 이해해야만 한다. 오늘은 미국 대통령 선거가 채택하고 있는 선거인단 제도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보자. 신생국이.. 2024. 11. 5. [국제/중동] 미대선에 베팅하는 캠페이너, 중동 이슬람사회 율법에는 당한 만큼 돌려주는 형벌원칙이 있는데, 바로 키사스(Qisas) 원칙이다. 이는 BC 18세기 함무라비(고대 바빌로니아 왕) 법전에서 출발하였는데, 오늘날까지도 여전히 고수되고 있는 처벌방식 중의 하나이다. 이란은 지금까지 키사스에 기반하여 강력한 복수를 수 없이 천명했지만, 적당한 선을 지키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키사스 자체가 비례원칙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2024년 11월 미국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지난 1년 간 이스라엘은 이란을 자극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이 과연 이스라엘의 국익만을 위하려 했던 것인지는 한번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이스라엘이 초토화시킨, 하마스 2024년 8월 하니예(Haniyeh, 하마스 최고지도자)가 이스라엘에 의해 사살된 .. 2024. 11. 5. [부동산/개발] 공장터 위에 세워진 성, 아일랜드캐슬 2024년 8월 27일 아일랜드캐슬에 세로토닌센터(center for serotonin)가 개원했는데, 올해 만 90세인 이시형(센터장)은 정신의학의 권위자이자 명강사로 유명하다. 동부간선도로를 타고 북쪽으로 가다보면, 장암지하차도 입구 넘어로 성모양의 리조트가 눈에 들어오는데, 바로 아일랜드캐슬이다. 아일랜드캐슬은 의정부시 장암동에 위치한 대규모 복합리조트로, 숙박시설(호텔 101실, 콘도 531실)과 8개의 연회장, 워터파크·온천을 갖추고 있다. 소위 수도권 북부 최대규모 복합리조트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다. 평소 유튜브를 통해 익숙한 강사가 아일랜드캐슬 내 센터를 열었다는 소식이 다소 의아했지만, 현재 소유자인 사모펀드가 엑시트를 위한 가치형성작업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했다. 아일랜드캐슬은 부동산.. 2024. 10. 25. 이전 1 ··· 32 33 34 35 36 37 38 ··· 8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