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13

[경영] 위기상황에 대한 처방, 구조조정 2025년 현재 글로벌 빅테크들은 AI로 인력을 대체하는 과정에 있다. 2024년 기업 구조조정 상황을 요약한 찌라시를 보면, 많은 기업들이 사활을 걸고 구조조정을 계획·실행했던 것으로 보인다. 2024년 이후 국내외 경제적 악재는 장기불황을 넘어서 경제위기까지 번질 수 있겠다는 의견이 많다. 경기불황은 저조한 실적과 함께 불확실성을 확대시키는데, 경영자는 현재의 수익모델이 과연 미래경쟁력을 가지고 있는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회귀할 시간을 버는, 구조조정 만약 새로운 수익모델을 모색하기에 늦지 않은 시점이라고 판단되면, 구조조정을 해야 한다. 구조조정(구조개선·경영개선·체질개선)은 경영효율화를 통해 정상으로 회귀하는 방안을 의미하며, 다른 측면에서는 정상으로 회귀할 수 있는 시간을 버는 것.. 2025. 7. 26.
[역사] 반세기 엘리트의 요람, 사법시험 2025년 4월 법무부는 14회 변호사시험(변시) 합격자를 1,744명으로 결정했는데, 대한변호사협회(변협)가 적정하다고 생각하는 수준(1,200명 이내)에 비해 +500명 이상 많았다. 지난 6년간 변시 합격자 수는 다음과 같이 1,700여명대를 꾸준히 유지하면서, 53% 안팎의 합격률을 보이고 있다. 2020년(9회) : 1,768명2021년(10회) : 1,706명2022년(11회) : 1,712명2023년(12회) : 1,725명2024년(13회) : 1,745명2025년(14회) : 1,744명(합격률 52.27%) 양면의 문제를 가졌던, 사법고시 고시(考試)는 임용·자격 취득을 위해 실시하는 시험으로, 대표적으로 사법고시·행정고시·외무고시로 불리는 시험이 있었다. 대학에 들어오기 전까지만 .. 2025. 7. 25.
[음식] 중국의 맛과 향, 마라 개인적으로 훠궈를 처음 먹어 본 것이 2007년 여의도 중경신신로였는데, 사회생활을 갓 시작한 직장인이 중국음식의 매운 맛에 본격적으로 눈을 뜨기 시작했던 것이다. 이후 2~3년 동안 혜화동 불이야를 단골집으로 삼아 훠궈를 참 많이 먹었었는데, 주택을 개조해서 만든 가게라서 그런지 술 마시기 좋은 공간이었다. 2010년대에는 하이디라오를 자주 다녔었고, 2020년대 들어서는 수지구청역 근처의 미가를 가족들과 가끔 찾는데, 메뉴(양고기·훠궈) 퀄리티도 좋은데가 중국풍의 인테리어와 적당한 가격대를 갖추고 있다. 2010년 중반부터 갑작스럽게 마라탕이 유행했었던 것 같다. 특히 10대 여학생들이 마라탕을 선호하는데, 이는 미각을 자극하는 이국적인 향신료와 함께 식재료를 자유롭게 선택하는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의.. 2025. 7. 21.
[역사/서울] 일제 도시개발의 한 축, 관사 조선을 식민지로 삼은 일제가 가장 시급히 진행한 일은 철도를 부설하는 것이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철로는 경제적 수탈과 군사적 지배의 인프라가 되었다. 당시 철도산업 종사자는 전문직으로 인정 받았으며, 조선총독부 산하의 조직 중에서 가장 큰 부서가 철도국이었다. 그 만큼 철도국 관료는 많은 복지를 누릴 수 있었는데, 철도관사·철도병원이 대표적이다. 전국의 철도교통 요충지에는 최대 수백 동에 달하는 관사단지가 조성되었는데, 경성에는 다음의 지역 일대에 철도관사가 들어섰다. 용산구 한강로동 : 용산역(경부선·경의선·경원선)용산구 효창동 : 효창역(경의선, 폐역)중구 순화동 : 경성역(현 서울역, 1925년 개통)마포구 서교동 : 신촌역(경의선)은평구 수색동 : 수색역(경의선)동대문구 전농동 : 청량리역(경의선.. 2025. 7.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