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기금(Pension Fund)은 개인에게 연금 형태의 은퇴소득을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설립되는 기관으로, 다양한 자산으로 구성된 포트폴리오(Portfolio)에 투자한다. 국내에서 연기금이라 하면, 흔히 국민연금(NPS, National Pension Service)을 떠올리게 되고, 단지 노후에 돈을 지급해 주는 국가기관이라고만 생각할 것이다. 하지만 실제 연기금 내부를 들여다보면, 연금가입자들에게 지급할 지속적인 현금흐름을 창출하기 위해 매우 큰 규모의 자금을 운용하고 있다. NPS는 그 운용규모가 한 국가의 주식시장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파급력이 있기에, 급락장에서는 정부의 도움 요청을 받기도 하는 대표적인 기관투자자 중 하나이다. 그래서 대부분의 연기금에서는 투자업계에서의 비중과 역할을 고려하여, 국내외의 우수인재들을 채용하여 투자운용역을 맡기고 있다.
최근 보도에 따르면, 2023년 NPS가 지급해야 할 연금액이 물가상승으로 인해 크게 증가하고 있지만, 기금운용에 있어서 인플레이션 헤지전략(Hedging strategy)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시장상황을 반영해 벤치마크를 수정하고 물가연동국채나 대체투자의 투자비중을 늘리는 등 인플레이션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NPS는 5대 자산군(국내주식·국내채권·해외주식·해외채권·대체투자) 가운데 대체투자 자산군만 소비자물가지수(CPI)를 벤치마크에 설정하고 있고, 주식과 채권 자산군은 인플레이션 여부와 관계없이 시장을 따라가도록 설계돼 있다. 하지만 NPS는 인플레이션 위험을 인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응의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고 한다. 여기서는 연기금의 자산운용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다양한 위험들과 인플레이션 헤지가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보자 .
위험 1) 이자율위험
연기금은 고정수익증권(FI, Fixed Income)에 상당한 비중을 투자하기 때문에 이자율위험(금리 상승시 가치 하락)에 노출되는데, 채권투자가 대표적이다. 연기금은 이자율 변동에 대한 익스포저를 관리하기 위해 다양한 헤지수단을 활용한다. 고정금리 지급이자와 변동금리 수취이자를 상호 교환하는 이자율 스왑, 특정시점에서 금리를 고정하는 이자율선물계약, 채권 포트폴리오의 평균만기를 단축시킴으로써 금리상승에 대한 민감도를 낮추는 등의 방법들을 주로 사용한다.
위험 2) 시장위험
연기금이 투자하는 다양한 자산(주식·채권·부동산 등)은 시장위험에 노출되는데, 이는 경제상황의 변화나 그 밖의 요인으로 인하여 각 자산의 가치에 발생하는 유의미한 변동을 의미한다. 시장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다양한 헤지전략이 있다. 옵션, 선물 및 스왑 등 파생상품 매매, 금융자산의 수익률 중 추가 수익률을 배분하는 자산 알파 배분, 포트폴리오를 분산시키는 분산투자, 포트폴리오의 레버리지 비율 조절 등의 방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위험 3) 통화위험
연기금은 다양한 화폐로 구성된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어서 환율변동이 투자가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통화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통화위험을 회피하기 위한 헤지방법으로는 일정시점에 환율을 고정하는 환율선물계약, 서로 다른 두 통화 간의 스왑을 맺는 통화스왑계약, 다양한 통화로 구성된 포트폴리오의 각각의 통화 비중을 조절하는 통화 다변화, 국제적으로 다양한 자산 유형으로 구성된 투자 등이 있다.
위험 4) 인플레이션위험
연기금의 자산가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인플레이션에 의해 침식됨으로 인해 연금자산의 구매력이 감소할 위험을 말한다. 인플레이션 위험을 피하기 위해 물가상승에 영향을 상대적으로 받지 않는 부동산, 인프라, 금, 자원주식 및 물가연동채권 등에 투자할 수 있다. 연기금이 인플레이션 헤지를 필요로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이유 1) 구매력 보호
연기금이 인플레이션 헤지를 필요로 하는 주요 이유 중 하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떨어지는 연금자산의 구매력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인플레이션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반적으로 재화와 용역의 가격이 상승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연금자산의 가치를 잠식하면서 그로부터 창출할 수 있는 소득을 감소시키게 된다. 인플레이션 기간 동안 가치가 상승하는 경향이 있는 자산에 투자하는 등의 인플레이션 위험 헤지전략은 연기금 자산의 구매력을 보호하고 은퇴자들이 생활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유 2) 장기적인 지급 의무 이행
연기금은 일반적으로 은퇴자에게 장기적인 지급 의무가 있으며, 이 의무는 경우에 따라 수십 년 또는 심지어 세대에 걸쳐 수행될 수도 있다. 인플레이션 위험 헤지는 인플레이션과 보조를 맞추어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연금액을 지급하는데 필요한 충분한 자원을 제공함으로써 연기금이 장기적인 지급의무를 이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유 3) 위험관리 다각화
인플레이션 위험 헤지는 인플레이션 압력에 다르게 반응하는 다양한 자산들에 투자함으로써 포트폴리오의 전반적인 위험을 줄이고 연기금 자산운용의 장기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인플레이션에 대비한 헤지를 통해 연기금은 어떤 하나의 자산군이나 투자전략에 지나치게 의존하지 않고 변화하는 경제상황에 더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한다.
해외연기금은 물가연동국채를 적극적으로 벤치마크에 편입해 운용하면서 인플레이션 헤지를 하고 있다. 캘리포니아공무원연금 캘퍼스(CalPERS)은 미국물가연동국채(TIPs)에 자산의 5% 이상을 투자하고 있으며, 캐나다의 온타리오교원연금계획(OTPP)와 영국의 연금보호기금(PPF) 등 글로벌 연기금들도 인플레이션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는 다양한 자산(TIPs, 인프라, 부동산 및 상품 등)에 투자하고 있다. 하지만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 국내채권 부문은 자체적으로 설계한 벤치마크를 사용하면서 전체 국고채 중 물가채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낮다고 한다. 그리고 인플레이션 헤지 자산에 해당하는 대체투자 비중을 늘려야 하지만, 주식과 채권의 동반 부진으로 대체투자 비중이 반사적으로 높아져 목표치를 맞추려면 오히려 대체투자 자산을 팔아야 하는 상황이다. 국민연금은 2022년 역대 최저 수익률을 기록하였고 2055년 기금 고갈이 예상된다고 하는데, 그 고갈 시기가 더 빨라지지 않을까 걱정이다.
'부동산·금융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리인상이 서서히 죄어온, 은행 파산 (0) | 2023.03.12 |
---|---|
거대한 변화의 서막, 토큰증권 (0) | 2023.03.11 |
수업료 비싼 내집마련, 지역주택조합 (0) | 2023.03.06 |
교도소 개장을 준비하는, 태백 (0) | 2023.03.04 |
경쟁당국의 필요한 눈치, 대한항공-아시아나 합병 (0) | 2023.03.04 |
댓글